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eetcode2

Leetcode 큐빗(Qubit)을 다룬 문제 Quantum bit (Qubit)은 양자컴퓨팅에서 사용하는 개념이라 보통 생소한 개념인데 리트코드 문제로 나와서 인상깊어서 올려본다. 458. Poor Pigs 처음에 언듯보면 바이너리서치를 쓰는 문제 같지만, 솔루션을 보고 충격받았다. Qubit 개념을 적극적으로 쓰는 문제 였다. 솔루션 설명에서도 보듯이 최근 Google, IBM, Amazon 같은 회사에서 양자컴퓨터 개념을 물어보는 문제도 종종 나오기 시작한 것 같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면 문제는 돼지 하나를 큐빗 하나로 가정하여 독이든 버켓 하나를 찾는 것이다. 큐빗 처럼 동작하게 하기위해서 문제에서는 몇가지 가정을 준다. 돼지는 동시에 여러 버켓을 먹을 수 있다. 독이든 버켓을 먹은 돼지는 m분후 죽는다. m분동안 다른 돼지에게 버켓을 먹일.. 2022. 8. 8.
Python bisect 라이브러리 알고리즘 활용 개요 이분 탐색(Binary Search)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많이 만나는 문제유형이다. 매번 코딩해서 바이너리 서치를 구현해도 좋지만 문제를 많이 풀다보면 매번 구현하기에 피로가 느껴지기 쉽다. 그래서 본인이 생각하는 접근이 맞는지 빨리 확인하고 문제 푸는 용도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유용한 것 같다. 다음 리트코드 문제를 예시로 bisect 모듈을 사용 예시를 보이겠다. 34. Find First and Last Position of Element in Sorted Array 사용 예시 문제 설명 자체는 간단하다. Non-decreasing (증가하는) 순서로 주어진 리스트에서 주어진 값의 시작과 마지막 인덱스를 반환하는 문제인다. bisect.bisect_left는 타겟 값중 가장 작은 인덱.. 2022. 7.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