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 Leetcode 큐빗(Qubit)을 다룬 문제 Quantum bit (Qubit)은 양자컴퓨팅에서 사용하는 개념이라 보통 생소한 개념인데 리트코드 문제로 나와서 인상깊어서 올려본다. 458. Poor Pigs 처음에 언듯보면 바이너리서치를 쓰는 문제 같지만, 솔루션을 보고 충격받았다. Qubit 개념을 적극적으로 쓰는 문제 였다. 솔루션 설명에서도 보듯이 최근 Google, IBM, Amazon 같은 회사에서 양자컴퓨터 개념을 물어보는 문제도 종종 나오기 시작한 것 같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면 문제는 돼지 하나를 큐빗 하나로 가정하여 독이든 버켓 하나를 찾는 것이다. 큐빗 처럼 동작하게 하기위해서 문제에서는 몇가지 가정을 준다. 돼지는 동시에 여러 버켓을 먹을 수 있다. 독이든 버켓을 먹은 돼지는 m분후 죽는다. m분동안 다른 돼지에게 버켓을 먹일.. 2022. 8. 8. 미국 컴공 석사 대학원 준비 과정: 토플 (TOEFL) 미국 유학을 결심하면 처음으로 만나는 관문은 토플이다. Computer Science 석사 기준으로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학교마다 요구하는 정보가 많이 다르다. 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Requirements를 확인할 수 있다. 지망을 희망하는 학교를 리스트업하고 목표 토플 점수를 정하여 전략으로 점수를 따는 것이 좋다. 나의 경우 1월부터 토플 독학을 시작했다. 총점 102점을 받았다. 4개 과목별 준비 과정을 설명하겠다. Reading 해커스 정규책 리딩책으로 독학하였다. 처음에는 시간안에 문제 푸는 시간이 부족하여 꼼꼼히 읽고 애매하게 해석되는 부분을 확실하게 이해할 때까지 해설지의 번역과 비교해가면서 읽었다. 그렇게 2달이 지나자 지문 읽는데 시간이 충분해지고 스탑워치로.. 2022. 7. 26. Python bisect 라이브러리 알고리즘 활용 개요 이분 탐색(Binary Search)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많이 만나는 문제유형이다. 매번 코딩해서 바이너리 서치를 구현해도 좋지만 문제를 많이 풀다보면 매번 구현하기에 피로가 느껴지기 쉽다. 그래서 본인이 생각하는 접근이 맞는지 빨리 확인하고 문제 푸는 용도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유용한 것 같다. 다음 리트코드 문제를 예시로 bisect 모듈을 사용 예시를 보이겠다. 34. Find First and Last Position of Element in Sorted Array 사용 예시 문제 설명 자체는 간단하다. Non-decreasing (증가하는) 순서로 주어진 리스트에서 주어진 값의 시작과 마지막 인덱스를 반환하는 문제인다. bisect.bisect_left는 타겟 값중 가장 작은 인덱.. 2022. 7. 26. 미국 컴공 석사 대학원 준비 과정: 타임라인 2021년 1월부터 Computer Science 석사 과정을 준비를 시작하였다. 앞으로 몇 달간 유학 관련 글을 올리면서 유학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될만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글을 남긴다. 유학 준비가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준비해야할 것이 많아서 계획을 세우고 차근차근 준비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내가 실제로 유학을 준비했던 타임라인을 공유한다. TOEFL: 1월 ~ 3월 GRE: 4월 ~ 7월 지원 대상 학교 선정 : 7월 ~ 8월 추천서 요청: 9월 원서접수: 11월 말 ~ 1월 초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과정들은 추후 포스팅하는 글에 포함할 생각이다. 2022. 6. 2. 2017년 2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후기 실기시험 준비 필기 시험을 합격 한 뒤, 2-3달을 조금씩 조금씩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을 준비하였다.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7년도 시험 대비판으로 공부하였다.책의 분량으로만 보면 실기가 필기가 익혀야할 부분이 훨씬 더 많은 것 같았다. 하지만 알고리즘 부분과 데이터베이스 부분 같은 경우는 기존에 익숙했던 부분이여서 시험 스타일만 익히는 식으로 준비해서 생각보다 공부랑은 그렇게 많지 않았다. 하지만 문제는 업무프로세스와 신기술용어 였다. 한 번 훑어 보았는데 아는 용어가 10%도 되지 않았다. 그래서 비록 하루 한 시간 정도 밖에 공부하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업무프로세스와 신기술 용어를 외우는데 할애하였다. 단어만 외우다 보니 나중에 가서는 재미가 없어 거의 공부를 안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7. 7. 9. 2017년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준비 계기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이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을 좋을 것 같아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를 시작했다. IT 전공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도 많이 따는 자격증이라 없으면 손해볼 것 같은 마음에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사를 따고나서 6년 경력이 있으면 기술사를 딸 수 있는데, 기술사는 자격증으로써 많은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해서 였다. 필기 시험 준비 시나공에서 나온 정보처리기사 필기 책으로 공부를 시작하였다. 처음 책을 받았을 때는 방대한 분량에 과연 내가 이걸 다보고 시험을 칠 수 있을가라는 생각을 했지만, 한 달 동안 1-2시간 씩 매일 보다보니 어느새 그 분량을 다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시험을 3일 앞 둔 시점부터 5년치 기출문제를 뽑아서 풀면서 모르는 부분은 책을 보면서 복습하고.. 2017. 7. 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